반응형

개발 3

생성형 AI로 개발할 때 배포시 꼭 확인해야할 보안 체크리스트

들어가며디지털 혁신의 중심에 선 생성형 AI의 붐이 일어난 지 어느덧 2년이 넘어가고 있습니다. 처음에는 단순한 텍스트 생성 도구로 시작했던 것이 이제는 코드를 작성하고, 이미지를 만들며, 심지어 비디오까지 생성하는 수준으로 발전했습니다.하지만 이렇게 혁신적인 기술도 기본적인 보안 원칙을 무시한다면 큰 위험을 겪을 수 있습니다. 특히 생성형 AI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와 복잡한 API 연동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안 위험이 더욱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.이번 글에서는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보안 체크리스트를 공유하고자 합니다. 1. API 키 관리: 개발자의 첫 번째 책임1) 환경 변수 관리의 중요성생성형 AI 개발에서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많은 개발자가 놓치는 부..

개발/Programming 2025.03.22

더욱 빨라진 TypeScript의 업데이트에 대해서

🚀 10배 빠른 TypeScript: 네이티브 포트 발표와 한국 개발자가 알아야 할 점📢 주요 소식: TypeScript의 혁신적 변화Microsoft가 최근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발표한 TypeScript 네이티브 포트 소식입니다.TypeScript의 창시자이자 C#, Delphi, Turbo Pascal의 디자이너인 Anders Hejlsberg가 직접 발표한 이 소식은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.💡 왜 네이티브 포트인가?TypeScript 팀은 대규모 코드베이스에서 TypeScript의 성능 문제를 인식하고 있었습니다.프로젝트 규모가 커질수록 겪었던 문제:긴 로딩 및 타입 체크 시간에디터 시작 시간과 코드 분석 사이의 타협 필요변수 이름 변경, 참조 찾기 등 기본 기능의..

개발/FrontEnd 2025.03.17

Model Context Protocol(MCP): AI의 새로운 표준 인터페이스

1. MCPModel Context Protocol (MCP)은 Anthropic에서 2024년 11월에 공개한 새로운 시스템으로, AI 모델의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표준입니다.MCP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운영되는 개방형 표준으로, AI 모델(예: Claude)이 각 통합마다 사용자 정의 코드를 작성할 필요 없이 데이터베이스, API, 파일 시스템 및 기타 도구에 연결할 수 있게 해줍니다.MCP는 클라이언트-서버 모델을 따르며 3가지 핵심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:호스트(Host): Claude와 같은 AI 애플리케이션으로, AI 상호 작용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여 다양한 도구와 데이터 소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. 호스트는 MCP 클라이언트를 실행합니다.MCP 클라이언트(MCP Client):..

개발/Programming 2025.03.17
반응형